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치킨 한 접시에 2만 원? 배달앱 수수료가 부른 가격 폭등

by goat0303 2025. 3. 19.
반응형

배달앱 수수료의 진실: 치킨도 '이중가격'에 빠지다

목차

  1. 배달앱 수수료의 실태
    1.1. 높아지는 수수료 부담
    1.2. 이중가격제의 등장
  2. 치킨 브랜드의 대응
    2.1. 맘스터치의 이중가격제 도입
    2.2. 굽네치킨의 가격 인상
    2.3. 기타 브랜드의 고민
  3. 소비자와 업계의 미래
    3.1. 소비자 부담 증가
    3.2. 배달앱 산업의 위기
    3.3. 해결책 모색

1. 배달앱 수수료의 실태

1.1. 높아지는 수수료 부담

배달앱 산업이 성장하면서 외식업 점주들의 수수료 부담이 날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최근 소비자공익네트워크의 설문 조사에 따르면, 외식업 점주들이 사업장 운영에서 가장 큰 부담을 느끼는 요인은 '배달앱 수수료'로 나타났습니다. 7점 만점에 5.68점이라는 높은 점수는 이 문제의 심각성을 잘 보여줍니다.

배달앱 업체들의 수수료 체계는 점주들에게 큰 부담이 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배달의민족의 '배민1플러스' 요금제는 중개이용료 6.8%의 정률제 방식을 채택하고 있어, 매출이 늘어날수록 수수료 부담도 함께 증가합니다. 이는 많은 점주들이 예측 가능한 비용 관리를 선호하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1.2. 이중가격제의 등장

높은 수수료 부담에 대응하기 위해 많은 외식업체들이 '이중가격제'를 도입하고 있습니다. 이중가격제란 배달 주문 시 매장 판매가보다 더 높은 요금을 부과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대형 프랜차이즈뿐만 아니라 소규모 자영업자들 사이에서도 빠르게 퍼지고 있는 추세입니다.

배달앱에 입점한 한식점 점주 김상식씨는 "배달앱 업체들이 소비자에게 무료배달이라며 생색을 내고 있지만, 결국 그 비용이 점주가 지불한 높은 수수료에서 나온다"고 설명했습니다. 이는 배달앱의 '무료배달' 서비스가 실제로는 점주들에게 부담을 전가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2. 치킨 브랜드의 대응

2.1. 맘스터치의 이중가격제 도입

버거·치킨 브랜드 맘스터치는 최근 48개 가맹점에서 이중가격제를 도입하기 시작했습니다. 매장별로 인상 폭은 다르지만, 배달 메뉴 가격이 평균 15%가량 올랐습니다. 이는 높은 배달앱 수수료에 대응하기 위한 조치로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맘스터치 본사는 배달 메뉴 가격이 오르면 매출이 줄어들 것을 우려해 가맹점에 자제할 것을 권하고 있습니다. 현행 가맹거래법상 가맹본부는 가맹점의 개별 가격 정책을 규제할 수 없다는 점도 이러한 상황을 더욱 복잡하게 만들고 있습니다.

2.2. 굽네치킨의 가격 인상

치킨 브랜드 가운데 매출 4위인 굽네치킨도 최근 서울과 경기 등 일부 가맹점에서 배달 메뉴 가격을 올렸습니다. 대표 메뉴인 '고추 바사삭'의 경우, 일부 매장에서 1만9천900원에서 2만1천900원으로 인상되는 등 배달 메뉴 가격이 1천∼3천원 올랐습니다.

이러한 가격 인상은 배달앱 수수료 부담에 대응하기 위한 조치로 볼 수 있지만, 굽네 본사 차원에서는 아직 이중가격제 도입을 검토하고 있지 않다고 밝혔습니다.

2.3. 기타 브랜드의 고민

상위 3위 안에 드는 치킨 브랜드들도 이중가격제 도입을 논의했지만, 업주들의 의견이 갈리고 여론 악화를 우려해 아직 결정을 내리지 못한 상황입니다. 배달 매출이 대부분인 치킨 브랜드에서 이중가격제를 도입하는 것은 사실상 제품 가격 인상과 마찬가지로 받아들여지기 때문에 신중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3. 소비자와 업계의 미래

3.1. 소비자 부담 증가

이중가격제의 확산은 결국 소비자의 부담 증가로 이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연초부터 커피, 햄버거 등의 가격 인상이 잇따르고 있는 상황에서 배달 메뉴 가격마저 오르면 소비자들의 부담은 더욱 커질 것입니다.

3.2. 배달앱 산업의 위기

높은 수수료와 이중가격제의 확산은 배달앱 산업 전체의 위기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점주들의 불만이 고조되고 소비자들의 부담이 늘어나면 배달앱 이용률이 감소할 수 있으며, 이는 결국 배달앱 업체들의 수익성 악화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3.3. 해결책 모색

이러한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배달앱 업체, 외식업 점주, 소비자 모두가 만족할 수 있는 새로운 수수료 체계와 가격 정책이 필요합니다. 정부의 규제나 업계의 자정 노력 등 다양한 방안이 논의되어야 할 것입니다.

결론

배달앱 수수료 문제와 이중가격제의 확산은 외식업계와 소비자 모두에게 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특히 치킨 브랜드들의 대응은 이 문제의 심각성을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 앞으로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모든 이해관계자들의 협력과 노력이 필요할 것입니다. 소비자의 부담을 줄이면서도 점주들의 수익성을 보장할 수 있는 균형 잡힌 해결책을 찾는 것이 시급한 과제입니다.

반응형